HOME

즐겨찾기

최근게시물 접속자(106) 사이트맵
알림글
치성행사표
관련사이트 링크
기도함 제작에 관한 …
기도수련 더보기
기도(祈禱)에 담긴 진…
기도수련의 중요성
기도수련의 생활화
기도 모시는 순 서
소리란 무엇인가?
주문수련이란 무엇인…
주문 수련의 비의(秘…
태을주 수련
법수
심고의 생활화
기본교화자료 더보기
[교운 2장 42절] 운합…
서전 서문(書傳 序文)
대학 우경 1장(大學 …
심 우 도 (尋牛圖)
傳敎(전교)
布 喩 文
覺道文
陰陽經
심 우 도 (尋牛圖)
春夜宴桃李園序
2025 년 5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朴牛堂 都典任
총 게시물 311건, 최근 0 건
   
언어ㆍ행동ㆍ처사를 바르게 하라
글쓴이 : 운영자                   날짜 : 2024-07-16 (화) 09:02 조회 : 130
언어ㆍ행동ㆍ처사를 바르게 하라

모든 언어ㆍ행동ㆍ처사를 바르게 하여
어디를 나서든지 떳떳하고
남에게 실수함이 없어야겠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다음 몇 가지 사항을 실천하고
생활화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첫째는 포덕(布德)입니다.

포덕이란 상제님께서 천지신명(天地神明)들의
하소연에 따라 이 땅에 오셨고,
진멸지경(盡滅地境)에 빠진 인간과 신명을 구하셔서
영원한 복록(福祿)이 있는 후천선경(後天仙境)으로
갈 수 있도록 하셨다는 것과
이에 맞추어 수도함으로써
큰 운수(運數)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천하창생에게 알리는 것입니다.

그런데 포덕을 하는 데 있어서
편법을 쓰거나 구차한 방법으로 해서는 안 됩니다.
정당하게 대순진리(大巡眞理)를 알려서,
상제님을 믿고 수도에 참뜻을 가진 사람에게
입도(入道)를 권해야 하는 것입니다.
포덕 숫자나 늘리려고 해서는 안 됩니다.
잘못하면 없는 말을 만들어 하게 되어
사회에 커다란 누를 끼치게 되고
타인들로부터 지탄의 대상이 되고 맙니다.

그러므로 포덕하는 과정에서
시한부(時限附)의 이야기를 하여도 안 되며,
시대를 악용하여도 안 됩니다.
지금은 그럴 때가 아닙니다.
모든 것이 민주화(民主化)로
밝게 되어 나가는 세상이므로
상제님의 진리(眞理)로써
얼마든지 상대방에게 상제님을 믿게 하여
입도시킬 수가 있는 것입니다.

둘째는 가정 문제입니다.

가정에서는 항상 화목해야 하며 불화가 있어서는 안 됩니다.
도인들은 가정화목으로써 이웃의 모범이 되어야 하며
그렇게 되면 자연히 상제님의 덕화가 선양될 수 있습니다.
도인들의 가정에서 불화가 생기면 그
것이 종단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일일지라도
밖에서는 종단 전체를 비방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도인들은 도(道)를 믿지 않는 이웃 사람들에게
더욱 모범을 보여 신뢰감을 주어야 합니다.

말 한마디, 행동 하나라도 조심해야 하며 친절해야 합니다.
이웃에 말 한마디라도 공손하고 따뜻하게 하면
큰 덕(德)이 되어 되돌아오게 되고,
그렇지 못하고 잘못하게 되면
자신에게 해로울 뿐만 아니라
이웃에게도 피해를 주게 됩니다.
나아가 다른 도인들에게도 막대한 피해를 입히게 되며,
종단 전체에도 지대한 누를 끼치게 되는 것입니다.
옛말에 “가는 정(情)이 있어야 오는 정이 있다.”고 하였듯이
우리 도인들은 남이 나의 덕을 알아주는 것에 개의치 말고
항상 자신의 도리(道理)를 다하면 되는 것입니다.

셋째는 방면 사업(方面事業)에 관한 것입니다.

각 방면에서 회관(會館)을 짓고자 한다면
자연히 여러 가지 문제가 따르게 됩니다.
지방에서 사업할 때 절대로 도인들에게
무리한 부담을 주어서는 안 됩니다.
상제님 모실 곳을 지으면서 말썽이 생긴다면
덕화 손상이 되므로 이러한 것은
오히려 하지 않는 것보다 못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각 방면은 힘에 맞게 해야 하며,
모든 일에 항상 걱정하고 조심하는 마음이 있어야 합니다.
이것은 곧 도인들을 아끼는 마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제님을 잘 모시려고 하면서 무리하게 일을 해선 안 됩니다.

넷째는 교화(敎化)에 대한 것입니다.

교화란 대순진리를 전하여 사람이 가야 할
올바른 길을 가르쳐 주는 것을 말합니다.
즉, 사람이 사람으로서 갖추어야 할 도리를 가르치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임원들이 언행과 처사를 잘해야 합니다.
임원들은 절대 편벽(偏僻)된 처사가 없도록
모든 일을 공명정대(公明正大)하게 처리해야 합니다.
그리하여 모든 사람으로부터 신임(信任)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공명정대하지 못한 데서 모든 어려운 문제가 일어나며
다른 사람에게서 불신임을 당하게 되고,
떳떳하지 못하게 됩니다.

도인들은 여러 가지 복잡한 일이나
잘 풀리지 않는 일도 인내하면서 극복하는 것이
수도(修道)의 한 과정임을 알아야 합니다.
다른 사람이 잘못할지라도 나 자신이
잘 극복하고 이해하면 좋은 결과가 옵니다.

나 자신이 수도하고 도를 믿는 것은
다른 사람이 잘못하는 것과는 하등의 관계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수도하는 사람에게 인사(人事)에 있어
불화(不和)라는 것은 있을 수가 없습니다.
도(道)란 것은 내가 나 자신의 완성(完成)을 위해서
믿는 것이므로 어렵더라도 잘 극복하면
진강(眞降)을 받을 수 있고,
잘못하게 되면 허강(虛降)이 내려
몸과 마음을 망치게 됩니다.

다섯째는 서로 화합해야 합니다.

도인들은 도(道)를 인연으로 만났으니
그 이상 더 큰 인연이 어디에 있겠습니까?
서로 이해하고 감싸주면서 화합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이 나에게 잘못해도
내 운수하고는 상관이 없고,
내가 도를 믿는 것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다른 사람이 잘못한다고 해서 반항심이나
반발심을 가지게 된다면 자신도 망치게 되고
다른 도인도 버리는 결과가 됩니다.
더구나 가장 화합해야 할 도인들끼리
만약 조그마한 불화의 씨라도 가지게 된다면
다른 사람들로부터 지탄의 대상이 되고
또한 덕화를 손상시키게 되니
매사에 화합하고 조심해야 합니다.
“흩어지면 죽고 뭉치면 산다.”는 말은
우리에게 해당하는 것입니다.

이상 몇 가지 사항을 실천하여 생활화함으로써
진정한 해원상생의 길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또 해원상생이 되어야 참된 민주화의 길이 열리게 됩니다.
그럼으로써 국가와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고,
이웃에 봉사하며, 가정이 화목하게 될 수 있는 것입니다.
도인들은 항상 명심하고 실천함으로써
수도에 차질이 없게 하여 모두가
상제님의 덕화를 입어 운수를 받도록 노력합시다.

훈시(1988. 7. 7)


스타일
굴림
10pt
<html> <body>
 
 
 
 
   

총 게시물 311건, 최근 0 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금산사 숯이 도전님을 상징하는 근거(훈시) 운영자 09-04 538 0
 가정화목 이웃화합 이루며 布德에 精誠을 다하자 운영자 03-10 2657 0
101  상대해서 한 번도 싸운 적 없었다 운영자 08-07 136 0
100  대순진리는 순리의 진리 운영자 08-06 175 0
99  해원상생 원리로 자기가 해야 할 도리를 다하는 것이 도인이다 운영자 08-05 141 0
98  해원상생을 알기만 해서는 안 되고 몸에 배어야 한다 운영자 08-04 141 0
97  도에 들어오면 제일 중요한 것이 주문이다 운영자 08-03 152 0
96  주문(呪文) 운영자 08-02 184 0
95  입도 치성 (2) 운영자 08-01 136 0
94  입도 치성 (1) 운영자 07-31 149 0
93  상제님의 덕화를 온 세계로 선양하라 운영자 07-30 127 0
92  우리는 무엇보다 먼저 혁신하여야 한다 운영자 07-29 133 0
91  포덕(布德)이란? 운영자 07-28 132 0
90  체계질서의 확립 운영자 07-27 111 0
89  도통은 꼭 있다 운영자 07-26 141 0
88  해원상생과 보은상생의 윤리 실천 운영자 07-25 133 0
87  진실과 거짓 운영자 07-24 110 0
86  무자기(無自欺)를 근본으로 삼아라 운영자 07-23 115 0
85  수도란 도통진경에 들어가는 것이다 운영자 07-22 135 0
84  훈회와 수칙을 잘 지켜야 운수를 받고 도통을 받는다 운영자 07-21 193 0
83  기도(祈禱)에 간직된 진리 운영자 07-20 129 0
82  도가 경위이고 경위가 도리다 운영자 07-19 150 0
81  믿음 운영자 07-18 132 0
80  안심(安心)ㆍ안신(安身) 운영자 07-17 121 0
79  언어ㆍ행동ㆍ처사를 바르게 하라 운영자 07-16 131 0
78  망기친(忘其親), 망기신(忘其身), 망기가(忘其家) 운영자 07-15 162 0
77  우리는 상제님의 말씀을 이루기 위해 존재한다 운영자 07-14 116 0
76  인륜도덕을 지키는 것이 도를 닦는 것이다 운영자 07-13 132 0
75  어짊(仁)이 바로 친절이다 운영자 07-12 145 0
74  이제 도통이 나온다 운영자 07-10 129 0
73  진리 토론회 운영자 07-09 142 0
72  안심(安心)⋅안신(安身)⋅경천(敬天)⋅수도(修道… 운영자 07-08 161 0
처음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끝

위로

Copyright ⓒ 2006 kidoham.kr All rights reserved.